원래 생각은 매일 여섯 시에 연구실에서 퇴근해서 집에 오는 거였는데(TA 일정까지 다 잡혀서 전체 일정이 확정되고 나면 그때부터 퇴근하고 학교 체육관 가서 운동을 하고 올 생각이었다), 오늘은 친구가 세 시 반에 식료품을 사러 가자고 하기에 따라가서 장을 봤다가 다시 연구실로 가기도 뭐해서 그냥 집으로 왔다. 물론 집으로 왔다고 쉴 수 있던 건 아니었다. 장 봐온 것 정리하고, 아침에 도시락을 싸느라 못 하고 나갔던 설거지를 끝내고, 과일도 식초 탄 물에 씻어서 냉장고에 넣어놓고, 음식물 쓰레기까지 버리고 왔다. 하긴 일요일에 식료품 장을 보고 청소를 할 생각이었으니까 하루 더 연구실에 가면 되겠다.


 이사 온 첫날에 싱크대 개수대 물이 잘 안 내려가서 개수대 뚜껑을 열었다가 굉장히 끔찍한 촉감의 무언가를 만졌다. 그 뒤로 그 쪽 개수대에서는 아무것도 안 했었는데, 조금 전에 프라이팬이랑 냄비랑 도마랑 다 씻어야 해서 어쩔 수 없이 그 쪽에 걸어뒀던 채반을 치우고 세제 묻힌 그릇을 두어야 했다. 그러고 나서 개수대 뚜껑에 다시 손을 대놓고는 도저히 그 안을 만질 자신이 없어서 지난 주에 사왔던 이쑤시개로 긁었다. 오......미국에 와서 산 것들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다섯 개 물건들 중에 꼽힐 만하다(1, 2위는 지난 포스팅 참조). 긁어내고 뚫어내고 아무튼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했다.


 원래 그다지 깔끔한 성격이 아니고 부지런떨면서 치우러 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는데, 혼자 살게 되니 치워야 할 게 보인다. 그 덕에 지금 내 방에서 지저분한 곳은 책상 위 밖에 없다!!(영수증 더미를 빨리 치우려면 밀린 가계부를 다 써야 할 텐데) 계속 이렇게 유지되기만을 바랄 뿐이다.


 길고 길던 오리엔테이션 주간이 내일로 끝난다. 사실 오늘 1학년 지도교수님을 뵙고 왔고, 내일도 간단한 행사만 남아있어서 큰 건들은 대부분 끝난 셈이다. 맨날 학교 친구들이나 연구실 사람들하고만 지내다 새로운 사람들하고 계속 부대끼고 있자니 기가 빨린다. 그래도 단 며칠 만에 친구도 생겼고 같은 과 친구와도 많은 이야기를 나눴으니(굳이 말하자면 주로 내가 그 친구에게 도움을 받고 있다) 이 정도면 괜찮은 것 아닌가? 모르겠다.


 

'일상 >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1016 일요일  (0) 2016.10.17
20160929 감기  (0) 2016.09.30
20160808 일주일  (0) 2016.08.09
20160316 간염예방접종  (0) 2016.03.16
160222 영어공부  (0) 2016.02.23

1.

 내일부터 학교 공식 일정이 시작된다.


 사실 그저께인 금요일에 학생증을 만들러 국제학생 check-in에 가긴 했지만 학과 오리엔테이션이 내일부터 시작되니 진짜 일정은 내일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그러니까 좋던 시절은 딱 오늘까지라는 거다.


 어젯밤부터 계속 혼자 지내면서 한 생각은 자취하면서 생활 리듬이 망가지면 인생 말아먹기 십상이라는 거였다. 어제는 저녁을 한 시간 넘게 먹었는데 밥을 먹는 내내 핸드폰으로 스도쿠를 했기 때문이었다. 집에서 그러고 있었다면 부모님이나 동생이 뭐라고 해서 얼마 못 가서 그만뒀을 텐데, 뭐라고 하는 사람이 없으니까 거침이 없었다. 그러고 나서 괜히 마음이 공허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해서 2시 40분이 넘어서 자서 9시에 일어났다. 한국에서 한창 여유롭게 지낼 때는 아홉 시도 이른 시간이었지만 미국에 와서 일곱 시 넘어서 일어난 적이 거의 없어서 기분이 이상했다. 뭐 일요일이라서 늦잠을 잘 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당장 내일부터 매일 학교에 가야 하는데 이렇게 조금씩 게을러지기 시작하면 겉잡을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오늘은 아홉 시가 넘어서부터 졸리기 시작해서 일찍 잘 수 있을 것 같다.



2.

 금요일에 check-in을 하고 와서 성격을 바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님도, 교수님도, 친구들도 다들 미국에서는 좀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도움을 청하거나 질문을 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했는데 그 동안 귀기울여 듣지 않다가 다른 외국인들이 바글바글한 곳에 갔다오고 나서야 필요성을 절감했다. check-in 과정 중에 학생생활에 관련된 여러 부서들을 돌아다니면서 설명을 듣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내 옆에 있던 어떤 외국인 학생은 마치 절친한 친구를 오랜만에 만난 것처럼 부서 담당자와 인사를 나눴는데 바로 다음 순간 그 담당자가 그 외국인 학생의 이름을 물어서 내심 놀랐다. 아마 저 친구는 학부생이라서 저럴 거라고 애써 생각하고 있지만 그 친구와는 완전히 대조되는 내 모습을 되돌아 보니 월플라워가 따로 없었다. 사실 어젯밤에 잠을 설칠 정도로 무서웠던 것도 (아마도 덩치가 컸을) 외국인 남학생들이 내 방 앞에서 떠들었기 때문이었는데, 이제부터는 상대방을 무조건 무서워하고 경계하지 않도록 마인드 컨트롤을 해야겠다.



3.

 외국에서 월급 받고 세금 내면서 사는 일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요 며칠 사이에 실감하고 있다. 비자 인터뷰까지의 과정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사실 이 과정은 정착과정으로 따로 써야 할 만큼 방대한데 이젠 글을 쓸 힘도 없다ㅠㅠ


 대충 떼어야 할 서류와 작성해야 할 서류만 정리하면 I-94(온라인 입국신고서), I-9(고용확인서), Glacier tax form(세금 환급 등에 관련된 온라인 서류) 등이 있다. 나중에 SSN이 나오면 세금 환급을 위해 W-4라는 서류도 작성해서 제출해야 한다는데 아직 SSN도 나오지 않았고 다른 할 일도 산더미이니 나중에 생각하기로 했다.

'대학원 > 박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912 첫 TA 세션  (0) 2016.09.13
20160909 주말  (0) 2016.09.10
20160902 삶의 질  (0) 2016.09.03
20160828 악마의 음식  (0) 2016.08.29
20160821 개강 전날  (0) 2016.08.22

 어제는 남은 예방접종을 전부 맞고 immunization form 작성까지 부탁하고 왔다.


 6월 1일에 했던 보건소 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 항체가 나와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은 더 이상 맞지 않기로 했다. 생각해 보니 건강검진에 관해서는 안 썼는데, 5,000원인 성인병 종합검진을 신청하면 중고등학교 때 학교에서 하는 항목의 검사를 하게 된다. 큰 병원에서 하는 종합검진을 한 번도 안 해봐서 그걸 해볼까 했었는데, 그건 봄 방학에 한국에 들어오게 되면 할 생각이다.


 어쨌든 그래서 화요일에는 가다실 2차를 맞았고, 목요일인 어제 MMR이랑 Tdap 주사를 맞았다. MMR 주사는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한 번만 맞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지금은 두 번을 맞는 것을 권장하고 있고, 학교 immunization form에서도 MR 또는 MMR을 생후 1년 이후에 두 번 맞는 것을 필수로 요구한다. 가다실 주사를 맞은 곳의 멍이 아직도 지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또 주사를 두 개나 맞으려니 어이가 없었지만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참았다.


 Tdap 주사는 따끔하긴 했지만 그 정도로 아프지는 않았다. MMR은 주사 놔주시는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 선생님이(명찰을 안 봐서 정확히 어떤 자리에 계신 분인지 모름...) 피하에 놓는 주사라서 아플 거라고 미리 말씀해주셔서 각오를 하고 있었는데도 엄청 아팠다. 그런데 막상 시간이 지나고 나서도 아픈 건 Tdap를 맞은 오른쪽 팔이다. 어젯밤에도 뻐근하더니 오늘까지도 계속 아프다.


 완성된 서류는 다음주 월요일인 7월 4일에 찾으러 가기로 했다. 비행기표도 샀고, 비자도 나왔고, 기숙사 주소도 나왔고, 예방접종도 다 맞았으니 인제 정말 얼마 안 남았다.



+Immunization form 작성을 위해 가져간 서류:


-영유아기의 예방접종 기록이 남아있는 아기수첩

-보건소 건강검진 기록(B형 간염 항체 기록 때문에)

-여권

-immunization form

'대학원 > 유학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출국 준비(2)  (0) 2016.08.04
3-1. 출국 준비(1)  (0) 2016.07.22
1-5. 비자 인터뷰  (0) 2016.05.26
1-4. 비자 인터뷰 예약  (0) 2016.05.13
1-3. SEVIS fee 납부  (0) 2016.05.11

 B형 간염 2차 접종을 받고 immunization form을 작성하러 보건소에 다녀왔다.


 저번 포스트에 썼던 것처럼 내가 가는 학교에서는 다음의 표에 명시된 예방접종을 맞았다는 것을 학교에서 제공하는 Immunization History Form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학교에 따라서는 뇌수막염 백신 등이 필수이기도 하다고 하니 확인 필수).


필수 

권장 

 MMR(Measles, Mumps, Rubella) 

 Hep B(B형 간염)

 Tetanus/Diphteria

(또는 Tetanus/Diphetria/Pertussis)

-10년 이내에 맞아야 함

 Meningococcal Quad Vaccine(뇌수막염)

(2/15/2015부터 Meningococcal B Vaccine 가능)

 

 Gardasil (HPV)

(12/11/2014부터 Gardasil 9 가능) 


 어머니가 내 아기수첩에 예방접종 내역을 전부 기입해 놓으셨다면 보건소에서 서류를 받을 수 있다는 말을 어디서 들어서 B형간염 2차접종을 맞으러 가는 김에 이것까지 해결하려고 갔었다. 오늘 새롭게 알게 된 것들은 이런 것들이다.


1. B형 간염 예방접종은 0-1-6 로 나눠서 3차에 걸쳐 접종하는 것이므로 1차 접종 이후 한 달 후 2차, 그리고 2차로부터 5개월 후 3차 접종을 받아야 한다. 이 말을 듣고 8월 초에 유학을 가게 됐다는 말씀을 드리자 의사 선생님께서는 그럼 좀 당겨서 맞자고, 출국 직전에 보건소에 들르라는 말씀을 하셨다.


2. 보건소에서는 영문 서류를 작성할 수 없다. 일단 내 경우에는 아기수첩에 접종기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온라인 상에서 그것들을 확인할 수 없었다. 접종을 맞았던 병원이 폐업했다면 보건소에서 기록을 올려줄 수는 있지만(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병원에 기록을 올려달라는 연락을 해야 한다고 한다), 영문 서류를 작성하는 것은 일반 병원에 가서 신청해야 한다.


3. Td 또는 Tdap 주사는 성인의 경우 보건소에서 맞을 수 없다고 한다. 일반 병원에 가서 맞아야 함...

'대학원 > 유학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SEVIS fee 납부  (0) 2016.05.11
1-2. DS-160 작성  (0) 2016.05.06
2-2. 20160426 예방접종  (0) 2016.04.26
1-1. 여권 수령, NOI 작성  (0) 2016.03.30
출국 준비 시작  (0) 2016.03.27
 월요일에 신청한 여권이 나왔다.

 10년 쓸 거라서 48면짜리를 발급받았는데(어차피 24면짜리랑 수수료가 3,000원밖에 차이나지 않기도 하고) 이걸 다 채울만큼 여행을 많이 다닐지는 모르겠다.


 아무튼 여권까지 받아서 학교에서 i-20을 받기 위해 필요한 NOI(Notification of Intent)를 전부 작성했다. 아직 현지 시간으로 새벽이라 승인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


 그 다음엔 정확히 뭘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예방접종과 건강검진이 가장 시급한 것이 아닐까 싶다. 보니까 이 학교에서는 어렸을 때 했던 홍역/풍진/볼거리/파상풍(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이 필수로 되어 있고, B형간염/수막구균/가다실 등은 권장사항으로 되어 있다. MMR(홍역, 볼거리, 풍진)는 1968년 이후 출생자이기에 두 번 맞아야 한다고 해서 아기수첩을 확인해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Td 또는 Tdap는 10년마다 재접종을 받아야 하는 거라서 조만간 맞아야겠다.


 그밖에 학과에서 온 메일에 보니까 미시경제학 배경지식 파일을 보내줄 테니까 읽어보라는데(필수가 아니긴 함)......경제학 전공도 아닌데 들어야 하는지는 모르겠다. 만약 지도교수님이 들으라고 하시면 첫 학기가 엄청 슬플 것 같다8ㅅ8

'대학원 > 유학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SEVIS fee 납부  (0) 2016.05.11
1-2. DS-160 작성  (0) 2016.05.06
2-2. 20160426 예방접종  (0) 2016.04.26
2-1. 20160415 오늘 보건소에서 알아온 것  (0) 2016.04.15
출국 준비 시작  (0) 2016.03.27

+ Recent posts